2014년 뜬금없이 미라가 눈을 떴다는 소문이 돌며 이는 곧 큰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이를 뒷받침 하는 사진과 영상을 보면 이 미라가 얼핏 눈을 떴다가 감은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요.

또한 이 미라를 둘러싼 가장 큰 미스터리는 바로, 100년 넘게 썩지 않고 생존 모습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부패되지 않고 보존된 채 잠들어 있던 이 미라가 갑자기 눈을 떴다고 하는데요. 이 미라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이탈리아 시칠리아섬에서 가상 큰 도시 팔레르모의 카푸친회 수도원에는 지하 4층 규모의 거대한 지하 납골당이 있습니다. 그런데 수도사들은 이곳에서 한 소녀를 발견하게됩니다
그들이 발견한 소녀는 두 살배기 아이 ‘로잘리아 롬바르도’입니다. 소녀는 30년전 1920년에 이미 상한 소녀였습니다.

하지만 금방이라도 눈을 뜨고 말을 걸어올 것 같은 얼굴에 웨이브가 살아있는 머리카락, 선명한 눈썹과 입술까지 죽은 사람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전혀 썩지 않은 로잘리아의 시신은 살아생전에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이상한 점은 일반적으로 사망한 지 30년이 지나면 피부는 부패하여 없어지고 머리카락 또한 전부 빠져 백골이 되기 마련이지만 이상하게도 로질리아의 시산만은 부패가 전혀 진행되지 않았던 것이죠.

그렇다면 로잘리아의 시신은 어떻게 살아생전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던걸까요? 1920년 2살의 나이로 사망한 로잘리아의 부모는 딸을 미라로 만들어서라도 생전에 아름다웠던 모습을 영원히 보존하고자 시신을 안고 수도원의 지하 납골당을 찾아갔습니다.
그러나 수도사로부터 로잘리아의 시신도 언젠가 백골로 변할 거라는 이야기를 들은 부부는 결국 다른 방법을 살피기 시작했죠.
그 이후 로잘리아의 부모는 한 남자와 함께 납골당을 찾았다고 하는데요. 남자의 정체는 당대 유명한 의사였던 알프레드 사로피아였다고 합니다.

그렇게 사라피아는 자신의 가방에서 주사를 꺼내 로잘리아에게 놓았다고 하는데요. 보통 카푸친회 수도원의 미라 제작 방법은 시신이 오래 기간 건조한 후 시신에 식초를 바른 후 다시 건조하였지만 사라피아 의사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로잘리 아의 시신을 미라로 만들어 놓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 이후 주사를 맞고 미라가 된 로잘리아는 놀랍게도 지금까지 전혀 썩지 않는 상태가 되었죠. 하지만 로잘리아에 부모가 사망한 후 더 이상 찾는 이가 없어지자, 로잘리아의 시신은 결국 납골당 구석에 방치하게 됩니다.
그렇게 방치된 로잘리아 시신이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건 다름 아닌 30년 후였습니다. 수도사들에 의해 썩지 않는 시신이 세상에 공개된 거죠.

로잘리아는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았고, 수도사들은 이런 로잘리아의 비밀을 파헤치기 위해 의사 사리피아를 찾아 나섰지만, 그러나 수도사들은 사라피아가 오래전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이에 따라 썩지 않는 로잘리아 시신에 대한 미스터리는 영원히 숙제로 남겨질 것 같았던 순간, 2009년 의사 사리피아에 친족들과 함께 사라피아가 남긴 자료를 토대로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한 이탈리아 생물 인류학자가 놀라운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건 바로 사라피아가 로잘리아에게 시신의 부패를 막는 화학약품을 여러 번 투여했다는 것이었죠. 포르말린, 아연염, 알코올, 살리실산, 글리세린 이 5가지 물질들의 공통점은 모두 부패를 막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사라피아가 시대를 앞서는 의학 기술을 알고 있었고 이를 사용하여 로잘리아의 시신을 부패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이었죠.

그렇다면 어떻게 이 약물들의 로잘리아의 몸을 완벽히 보존시킬 수 있었을까요? 먼저 그녀의 몸에 투여된 약물 중 포르말린은 박테리아를 죽이는 약물이었고 알코올은 몸을 건조하는 데 쓰인 약물이었으며 글리세린은 몸을 미라화 시켰던 약물, 살리실사는 몸에 곰팡이가 자라는 걸 막는 약물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로잘리아의 몸은 완벽히 보조시켰던 데에 가장 크게 기여했던 약물은 바로 아연이었습니다. 아연염이 소녀의 몸을 석화시킨 바람에 그녀의 피부 재질은 마치 왁스 인형처럼 딱딱하게 변해 버렸죠.
결국 이러한 약물들로 로잘리아의 몸 안에서 시너지를 일으켜 시신이 부패되지 않고 완벽히 미라로 보존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단 한대의 주사로 시신을 90년간 완벽하게 보존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라고
그들의 주장은 로잘리아는 이미 오래전 다른 곳으로 옮겨졌고, 현재 관 안에 있는 건 미라가 아니라 그녀를 본뜬 왁스 인형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반박 때문에 과학자들은 2000년대의 로잘리아의 미라를 x-Ray와 함께 ct까지 촬영했으며 2009년 다른 팀이 추가로 그녀의 몸을 mri 촬영한 하였는데요.
놀랍게도 검사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왜냐하면 관 안에 있는 건 왁스 인형이 아니라 진짜 로잘리아의 몸이 미라화 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죠.

사라피아가 놓은 약물의 영향으로 로잘리아에 몸 안에 있는 장기들은 물론이고, 미라화 과정 때문에 소녀의 뇌는 평소보다 50% 정도 줄어든 상태였지만 그녀의 뇌도 매우 잘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이렇게 모든 진실이 밝혀진 로잘리아의 미라, 그러나 2014년 다시 한번 화재의 중심에 서게 됩니다. 로잘리아가 눈을 깜빡이는 모습이 포착됐기 때문이죠.

이에 따라 수많은 사람이 실제로 눈을 깜박인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지만 전문가들은 착시 현상에 의한 것으로 결론지었습니다.
즉, 낮동안 변화하는 빛이 창을 통해 걸러지면서 해당 현상에 나타났다는 말입니다. 그렇기에 각도에 따라 논을 뜬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안 뜬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는데요.
마치 산 사람처럼 여전히 부패하지 않은 로젤리아 미라로 인해 사람들은 이 소문을 믿은 게 아니었을까 싶은데요. 그런데 로잘리아의 미라는 2009년부터 부패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도원 측에서는 2010년부터 로잘리아의 미라를 질소가 들어있는 유리관 안에 넣어 부패를 막을 수 있게 보호 중이라고 합니다.

.
어린 나이에 안타깝게 숨진 아이 로잘리아, 부모의 간절한 바람대로 로잘리아는 100년이 지난 후에도 생존 모습 그대로 잘 보존할 수 있었습니다.
어쩌면 사람들이 로잘리아가 눈을 깜빡였다고 느낀 건, 어린 나이에 안타깝게 숨진 아이가 다시 살아 움직이길 원하는 부모의 마음이 아니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