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지병으로 누워계신지 몇 해가 지날 무렵 엄마는 어느 날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곱게 빗어 쪽진 뒤 “태민아, 정수야 ”잠깐 나와 볼래 우리 남매를 불러 앉혀다.
마치 돌아오지 못할 여행이라도 떠나는 사람처럼 엄마 얼굴에는 슬픔이 가득했다
“정수야 누나를 부탁한다”
“니가 누나의 목소리가 돼 줘야 해 그럴 수 있지?“

엄마는 말 못 하는 누나가 마음에 걸려 차마 눈을 감을 수 없다며 내 손을 꼭 잡고 당부하셨다.
며칠 뒤 어머니는 그렇게 우리 남매의 손을 꼭 잡고는 돌아오지 않을 먼 곳으로 영영 떠나셨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나 누나와 나는 먼 친척의 도움을 받았고 야간 고등학교를 마칠 수 있었다.
그 후 서울의 직장 얻고 누나와 함께 서울로 상경했다.
그러던 어느 날 퇴근해 집에 돌아오고 있는데 동네 한쪽 잘 보이지 않는 곳에 누나와 아이들이 모여 있었다.
무심히 돌아봤는데 누나가 앵무새 한 마리를 놓고 동네 아이들과 뭔가를 하고 있었다.
신경 쓰고 싶지 않아 집으로 들어가려던 내 귓가에 알아들을 수 없는 앵무새 소리가 들려왔다.
주주.. 주 .. 주우 앵무새도 아이들도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를 내고 있었지만 신경 쓰고 싶지 않았다.
그 후로도 동네 아이들과 누나 그리고 앵무새는 동네 한쪽에 모여 알 수 없는 소리를 내는 일을 반복했다.
모처럼 쉬는 날 마치 천식 환자처럼 그렁대는 앵무새는 나의 낮잠을 방해하고 신경을 건드렸다.

”제발 더 앵무새 치워 버릴 수 없어“
누나에게 얼음장처럼 차가운 표정으로 쏘아붙였다. 누나는 그런 내 태도에 난감한 표정을 지었지만 애써 못 들은 척하는 것 같았다.
그렇게 또 며칠이 흐른 어느 날 누군가의 반복되는 말에 잠이 깨 버린 나는 소스라치게 놀라고 말았다.
”앵무새가 생일..추카 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
앵무새는 분명 그렇게 말하고 있었다
그리고 누나가 보여준 카드에는
“생일 축하해”
내 목소리로 이 말을 꼭 해주고 싶었는데…

목소리가 없는 누나가 나에게 난생처음 들려준 말이었다.
앵무새에게 그 한마디를 훈련 시키기 위해 누나는 그렇게 여러 날을 동네 아이들에게 부탁하여 연습을 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난 쏟아지는 눈물을 애써 감추려고 고개 숙여 미역국만 먹을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