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퇴사 후 창업하기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성공할 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사실 실패했을 때 겪게 되는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죠.
아내와 아이 둘이 있는 남성은 회사를 다니며 연봉 1억 원을 받았지만 더 많은 돈을 벌고자 과감하게 퇴사를 결정했다고 하는데요.

그는 설레는 마음으로 새로운 사업을 창업했고 생각했던 것보다 사업은 잘 되었다고 합니다. 회사 다닐 때 보다 훨씬 많은 2억 5천만 원을 벌고 있었습니다.
수입이 몇 배로 늘어난 남성은 아내에게 생활비로 월 1천만 원을 주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아내는 ‘천 만 원’을 주어도 생활비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잔소리를 했습니다.

지난 12일 온라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연봉 1억은 부족한가요? 란 사연이 올라오게 됩니다.
사연은 사업가 A 씨는 주말 아침 생활비가 부족하다는 아내의 불만으로 싸우게 되었고 그는..
내가 전 회사에 있었을 때부터 혼자 외벌이로 가정을 책임졌고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지금보다 연봉이 적어서 월 1천만 원도 주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이렇게 “아이 둘 거주지가 서울인 경우를 비교했을 때 연봉 1억 원을 받는 남편의 외벌이가 부족한가요? “라며 누리꾼들의 의견을 몰어보게됩니다.
이에 이 사연을 접한 직장인 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고 하는데요.
” 월 1천만 원이 뭐가 부족하지?”
“서울에 살아도 그 정도면 충분할 것 같아요.”
” 아내가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것 같다.”
” 아내가 경제관념이 많이 부족한 것 같다.”
” 낭비가 심한 듯.”
” 마누라더라 일해서 돈 벌어보면 안다고 전해라.”
” 참 팔자 좋은 소리 하고 있네.”
특히 미혼 남성들은 이 사연을 접하고…
” 무서워서 결혼 어디 하겠습니까?”
” 내 월급은 글쓴이 생활비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테 “
” 난 평생 결혼 못 하겠다.”
” 이래서 내가 결혼 안 하고 혼자 산다고 결심한 거임.”
” 일반적인 월급쟁이 월급은 껌이나 산다고 하겠네.”
” 그냥 난 평생 혼자 살아야겠다.”
등의 댓글로 글쓴이의 마음을 씁쓸하게 했다고 합니다.
요즘 젊은 세대들은 취업난 및 집값 상승으로 인해 연애도 결혼도 포기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여자친구 또는 배우자를 만나기란 쉽지 많은 않을 것입니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기준 초혼 연령은 남성 33.2세, 여성 30.4세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20대에서 30대 미혼남녀가 10명 중 7명은 결혼을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고 답변했다고 합니다.
또한 5명 중 1명은 결혼 없이 자녀만 가질 수 있다면 좋겠다고 답했습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현제 대한민국 사회에서의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이며 개인의 삶을 중요시 여기는 문화가 자리 잡은 것 같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나 자신만을 위한 삶보다는 나와 내 가족 그리고 미래의 아이를 위해서라도 현실성 있는 계획을 세우고 준비해야 하진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