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밤, 어느 지방 버스 안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신작로를 따라 천천히 달리고 있는 버스 안에서 엄마 품에 곤히 자고 있던 아이가 갑자기 깨더니, 울기 시작했습니다.

조금 있으면 그치겠지 했던 아이는 계속 울었습니다. 울음은 새 정거장을 거쳐 갈 때까지 도무지 그칠 기미가 보이지 않았죠.
슬슬 짜증나기 시작한 승객들이 여기저기서,
“아줌마!! 아이 좀 달래 봐요!”
“버스 전세 냈나?”
“아줌마 내려서 걸어가요!
여러 사람 힘들게 하지 말고”
“아~진짜 짜증나네”
버스 승객들은 아이를 안고 있는 엄마에게 잔뜩 화가 나서 온갖 험한 말을 퍼붓고 있는데 갑자기 버스가 멈춰 섰습니다.
모두 무슨 일이 생겼나?라는 표정으로 생각들이 의아한 마음으로 앞을 바라보는데 버스 기사 아저씨가 차를 멈추고 문을 열고 나가 길옆에 있는 상점에서 무언가를 사들고 왔습니다.
그리고, 성큼성큼 아이 엄마에게 다가가더니 초코렛 하나를 아이 입에 물려주었습니다. 그러자 신기하게도 아이의 울음이 뚝 그쳤습니다.

아무런 일이 없었다는 듯이 버스가 다시 출발을 하자, 화를 내고 짜증 냈던 승객들은 부끄러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몇 정거장을 지나자 아이 엄마는 버스기사 아저씨에게 다가가 공손히 고개를 숙이고 손등에 다른 한 손을 세워 보였습니다.
“고맙습니다”라는 수화로 고마움을 표현했습니다. 아이 엄마는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장애인이었던 거였습니다.
아이 엄마가 아이를 업고 내리자 버스기사는 아주머니 아이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자동차 불빛을 비추어 주었습니다. 그런 기사 아저씨를 보고 “빨리 갑시다”라고 재촉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달빛을 따라 천천히 달려가는 버스 속에는 착한 기사 아저씨의 배려의 손길을 따라 행복한 마음들이 함께 천천히 굴러가고 있었습니다.
작은 관심을 갖고 초코렛 하나를 사서 말하지도 듣지도 못하는 아이 엄마에게 작은 배려를 베풀어 준 기사야 말로 멋진 키다리 아저씨였습니다.
각박한 세상을 살아가면서 화날 일이 있고 미운 마음이 생길 때는 한번 더 생각해 보시는 게 어떨까요? 그런 작은 생각 하나가 화해를 이루어 주는 배려의 계기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우리가 조금만 이해해주면 얼마나 감사할까요? 저도 아이가 있어서 압니다. 아이가 우는 건 부모의 잘못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우리 모두가 어릴 때도 그랬잖아요? 저분을 비난하거나 욕하지 마시고, 오히려 따뜻한 미소와 위로의 말을 건네주시면 어떨까요?

“버스기사의 말에 승객들은 반성하고 부끄러워했습니다. 그들은 청각장애인 엄마에게 사과하고, 아이를 달래주려고 했습니다. 청각장애인 엄마는 승객들의 변화에 감동하고, 버스기사에게 감사의 인사를 했습니다.
버스기사는 웃으며 답했습니다. “천만에요. 저도 엄마의 고생을 이해합니다. 화이팅하세요!” 버스는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다음 정류장으로 출발했습니다.